Remove ads
한국전쟁 당시의 군사적 공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낙동강 대공세(한국 한자: 洛東江大攻勢, 영어: Great Nakdong Offensive)는 6.25 전쟁 당시 1950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이어진 북한군의 공세로 대한민국과 유엔에 대한 공격이었다. 조선인민군이 유엔사령부가 구축한 낙동강 방어선을 돌파하기 위한 마지막 공격이었지만 이는 실패로 끝났다. 전쟁 초기 북한군은 국군과 유엔군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며 남진을 거듭했다. 8월부터 유엔군과 한국군은 230 km에 달하는 한반도의 남동쪽 끝인 부산 교두보로 후퇴할 수 밖에 없었지만 북한군의 남침이 시작된 이래 최대의 방어선을 구축할 수 있었다. 이 방어선으로 북한군은 측면을 뚫거나 압도적인 수로 방어선을 돌파할 수 없었다. 교두보에 대한 북한군의 공격은 둔화되었고, 8월 말 모든 공격 축선이 상실되었다. 교두보를 따라 발생하는 장기간의 분쟁에 대한 위험을 발견한 이후, 북한군은 국군과 유엔군의 방어선을 돌파하기 위해 9월에 대규모 공세를 준비했다.
낙동강 대공세 | |||||||
---|---|---|---|---|---|---|---|
6.25 전쟁의 일부 | |||||||
낙동강 대공세 당시의 보병대 | |||||||
| |||||||
교전국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지휘관 | |||||||
병력 | |||||||
140,650명 | 105,800명 | ||||||
피해 규모 | |||||||
| 34,000명 | ||||||
낙동강 대공세 당시의 지도 |
북한군은 5개의 공격축을 바탕으로 교두보를 향한 동시다발적인 공세를 계획했다. 9월 1일 마산, 경주, 대구, 영천과 낙동강 돌출부에서 격전이 벌어졌다. 이후 부산으로 이어지는 도로에 걸쳐 피아가 2주간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다. 북한군은 병력과 장비수준에서 우세한 국군과 유엔군의 방어선을 돌파할 수 없었다. 이 공세에서 정체된 북한군은 이후 인천 상륙 작전에서 궤멸된다.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