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논리학(數理論理學, 영어: mathematical logic) 또는 기호논리학은 논리학에서 사용하는 명제들을 수학적인 기호로 표시하는 학문이다. 고틀로프 프레게, 버트런드 러셀, 폴 조지프 코언 등이 개척한 분야로서 일상 언어와 같은 자연언어의 사용에서 올수있는 복잡성과 오류의 용이성을 제거하고 명제를 효과적으로 쉽게 다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입한 현대 논리학 이론으로서, 기호를 많이 사용하여 '기호 논리학'(symbolic logic)이라고도 한다. 컴퓨터 과학 및 철학논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1][2]

간략 정보 수리 논리학, 학문명 ...
수리 논리학
Thumb
학문명수리논리학
닫기

이 분야는 논리학 및 형식논리의 타 분야로의 응용에 관한 수학적 연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통합적으로는 형식 체계의 표현력과 형식 증명 체계의 연역 가능성에 관한 연구를 포함한다.[3][4][5]

수리논리학은 종종 집합론, 모형 이론, 재귀 이론, 증명 이론, 구성적 수학 등의 하위 분야로 나뉜다. 이 분야들은 공통적으로 1차 논리와 정의가능성 등의 기본적인 논리학적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수리논리학은 처음 출현한 이후 줄곧 수학기초론의 연구와 영향을 주고 받았다. 이 연구는 19세기 말 기하학, 대수학, 해석학의 공리적 구조의 개발과 함께 시작되었다. 20세기 초에는 수학기초론의 무모순성을 증명하려는 다비트 힐베르트의 연구에 의해 다듬어졌다. 쿠르트 괴델게르하르트 겐첸 등은 그 연구에 일부 해결 방법을 제시하였고 무모순성 증명과 관련한 문제들을 명확히 하였다. 비록 몇몇 정리들이 집합 이론의 공리 체계에서 증명 불가능하지만, 집합 이론에서의 연구는 거의 모든 일반적인 수학은 집합의 형태로 형식화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수학기초론에서 최근의 연구는 종종 모든 수학을 전개할 수 있는 이론을 찾기보다는 수학의 어느 부분이 특정 형식 체계에서 형식화할 수 있는지 찾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기호의 예

자세한 정보 , ...
언어기호
그리고
또는
만일 A 이면 B 이다
아니다
닫기

추론 형식

자세한 정보 , ...
형식구조추론
F1전가언 3단논법(3명제 모두가 가언 명제)간접추론
F2혼합가언 전건긍정 3단논법(대전제 가언 ·소전제 정언 명제)간접추론
F3혼합가언 후건부정 3단논법(대전제 가언·소전제 정언)간접추론
F4혼합선언 부정3단논법(대전제 선언 명제·소전제 정언)간접추론
F5드 모르간의 법칙



직접추론
F6연언 명제직접추론
F7연언 명제의 분리(Conjunction Elimination)직접추론
F8이중부정직접추론
닫기

고전 논리학과 기호 논리학의 비교

자세한 정보 , ...
명제고전 논리학기호논리학의 기호화기호논리학의 근거제시
전제 1만약 A가 B라면 C가 아니거나 D이다.(-C)
전제 2A는 E이거나 또는 C이다.(E)
전제 3A는 B이다.
전제 4A는 D가 아니다.
결론1A는 C가 아니다.전제1,전제4, F3
결론2A는 E이다.전제2,결론1, F3
닫기

기호논리학은 복잡한 자연언어의 문장들로 구성된 추론들로부터 기호화된 추론 형식을 적용함으로써 타당성 검증이 가능하게 한다.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Wikiwand in your browser!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