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과대학교(工科大學校) 또는 이공대학교는 이공계 연구중심대학을 의미한다. 교명으로 공과대학교, 공업대학, Institute of Technology, University of Technology, Polytechnic University, Technikon, Technical university, Technische Universität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Thumb](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7/73/Campus_do_IPS_em_Set%C3%BAbal.jpg/640px-Campus_do_IPS_em_Set%C3%BAbal.jpg)
그리스
- 아테네 국립 공과대학교 (Εθνικό Μετσόβιο Πολυτεχνείο)[1]
- 크레테 공과대학교 (Πολυτεχνείο Κρήτης)[2]
네덜란드
- 델프트 공과대학교 (Technische Universiteit Delft, TU Delft)
대한민국
독일
TU9 독일 공과대학교 연합
TU9 (TU9 German Institutes of Technology e. V)[3]는 독일의 9개의 공과대학교의 연합이다. TU9는 2003년에 독일 공과대학교의 비공식 협회로서 창설되었다가 2006년 1월 26일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출범하였다. 초대 의장(2006년~2009년)은 호르스트 히플러(Horst Hippler)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 총장이고[4], 2대 의장(2010년~2013년)은 에른스트 M. 슈마흐텐베르크(Ernst M. Schmachtenberg) 아헨 공과대학교 총장이고[5], 현재 의장(2014년~)은 한스 위르겐 프로멜(Hans Jürgen Prömel)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총장이다.[6]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하노버 대학교 (Gottfried Wilhelm Leibniz Universität Hannover)
- 브라운슈바이크 공과대학교 (Technische Universität Carolo-Wilhelmina zu Braunschweig)
- 다름슈타트 공과대학교 (Technische Universität Darmstadt, TU Darmstadt)
- 드레스덴 공과대학교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TU Dresden)
- 뮌헨 공과대학교 (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 TU München)
- 베를린 공과대학교 (Technische Universität Berlin, TU Berlin)
- 슈투트가르트 대학교 (Universität Stuttgart)
- 아헨 공과대학교 (Rheinisch-Westfälische Technische Hochschule Aachen, RWTH Aachen)
-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 (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 KIT)
미국
국공립
- 공군 기술대학원
- 뉴멕시코 광산공과대학교
- 뉴욕주립대 폴리테크닉 (SUNY Poly)
- 뉴저지 공과대학교 (NJIT)
- 루이지애나 공과대학교
- 몬타나 공과대학교
- 미시건 공과대학교
- 미주리 과학기술대학교
-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VaTech)
-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
- 사우스다코타 광업및기술대학교
- 서던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
- 아칸소 공과대학교
- 애리조나 주립 폴리테크닉 대학교
- 오레곤 공과대학교
- 오클라호마 주립 공과대학교
- 웨스트버지니아 공과대학교
- 위스콘신 대학교 스타우트
- 조지아 공과대학교 (GIT)
- 캔자스 주립 대학교 폴리테크닉 캠퍼스 샐리나
- 캘리포니아 주립 폴리테크닉 대학교 (Cal Poly - 포모나, 샌 루이스 오비스포)
- 콜로라도 광업 대학교
- 플로리다 폴리테크닉 대학교
- 테네시 공과대학교
- 텍사스 공과대학교
사립
- 노스웨스턴 폴리테크닉 대학교
- 뉴욕 공과대학교 (NYIT)
- 뉴잉글랜드 공과대학교
- 렌셀러 폴리테크닉 대학교 (RPI)
- 로즈 헐먼 공과대학교
- 로렌스 공과대학교
- 로체스터 공과대학교 (RIT)
-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MIT)
- 스티븐스 공과대학교
- 우스터 공과대학교 (WPI)
- 웬트워스 공과대학교
- 인디애나 공과대학교
- 일리노이 공과대학교 (IIT)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CalTech)
- 플로리다 공과대학교
- 해리스버그 과학기술대학교
스위스
-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É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 EPF Lausanne)
-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Eidgenö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ürich, ETH Zürich)
스웨덴
- 왕립 공과대학교(Kungliga Tekniska Högskolan, KTH)
- 찰머스 공과대학교(Chalmers Tekniska Högskola, CTH)
이스라엘
- 테크니온 이스라엘 공과대학교 (הטכניון - מכון טכנולוגי לישראל)
이탈리아
튀르키예
- 이스탄불 공과대학교(İstanbul Teknik Üniversitesi, İTÜ)
핀란드
프랑스
- 국립고등교량도로학교(École nationale des ponts et chaussées, École des Ponts ParisTech) 1747년설립
- 파리테크 국립고등기술공예학교(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arts et métiers, Arts et Métiers ParisTech) 1780년설립
- 파리 국립광업학교(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mines de Paris, MINES ParisTech) 1783년 설립
- 에콜 폴리테크닉(École polytechnique) 1794년 설립
- 에콜 센트랄 파리(École centrale des arts et manufactures de Paris) 1829년 설립
- 에콜 센트랄 릴(École des arts industriels et des mines de Lille) 1854년 설립
- 에콜 센트랄 리옹( École centrale Lyonnaise pour l'industrie et le commerce) 1857년 설립
- 국립고등정보통신학교(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télécommunications, Télécom Paris, Télécom ParisTech) 1878년 설립
- 고등상업학교(École des hautes études commerciales de Paris, HEC Paris) 1881년 설립
- 고등물리화학산업학교(École supérieure de physique et de chimie industrielles de la ville de Paris, ESPCI ParisTech) 1882년 설립
- 에콜 센트랄 마르세유(École centrale de Marseille) 1890년 설립
- 수펠레크(École Supérieure d'Electricité) 1894년 설립
- 국립고등화학학교(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 chimie de Paris, Chimie ParisTech) 1896년 설립
- 에콜 센트랄 낭트(École centrale de Nantes) 1919년 설립
- 고등광학학교(Institut d'Optique Graduate School) 1920년 설립
- 국립고등통계경제행정학교(École nationale de la statistique et de l'administration économique, ENSAE ParisTech) 1942년 설립
- 국립고등선진기술학교(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 techniques avancées, ENSTA ParisTech) 1970년 설립
- 파리테크 생명과학 연구소(Institut des sciences et industries du vivant et de l'environnement, AgroParisTech) 2007년 설립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