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기각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기각구역(棄却區域,rejection region) 또는 기각 영역은 가설검정(hypothesis test)에서, 영가설(H0)을 기각시키는 표본 공간의 영역을 가리킨다. 기각에 P값(또는 Sig)을 사용한다.

T 테스트

Thumb
(예시) n=12 일대 자유도(df) 11에서 임계치 -1.796이하이다. 유의수준(significance level) α = 0.05

T 테스트에서 T 테이블유의수준(significance level) 95%일 때 영가설 기각영역(rejection region)은 회색으로 채색된다.

PSPP T 테스트(T-Test) 결과표(Output)

MeanStd. DeviationS.E. MeantdfSig(2-tailed)
3.215.431.242.46110.021
(예) α > sig(P) 이면 영가설 기각

α(0.05) > sig(0.021)임으로 영가설(H0)을 기각하고 연구결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결론을 확인할 수 있다.

예 2

PSPP T-Test Output(독립표본테스트)

Levene's Test for Equality of VariancesT-Test for Equality of Means
FStd. DeviationtdfSig(2-tailed)Mean DifferenceStd. Error MeanLower(95% Confidence Interval of the Difference)Upper
1.580.2090.155584.01.881.01.08-.15.17
(예) α > sig(P) 이면 영가설 기각

α(0.05) < sig(0.881)임으로 영가설(H0) 기각 실패이며 연구결과로 샘플간의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는 결론을 확인할 수 있다.

(예) 레빈의 동질성 테스트(Levene's Test for Equality)
H0 : 샘플들간의 등분산성(等分散性,homoskedasticity)이 가정될수있다.
α > sig(P) 이면 영가설(분산의 등분산성 성립) 기각

α(0.05) < sig(0.209)임으로 영가설(H0)을 기각하고 연구결과(영가설 기각실패)가 등분산성을 가정한다는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다.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