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과학관

대한민국의 국립 과학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국립중앙과학관map

국립중앙과학관(國立中央科學館, 영어: National Science Museum)은 이공학·산업기술·과학기술사 및 자연사에 관한 자료의 수집·보존·연구·전시 및 교육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소속기관이다. 1990년 10월 9일에 발족하였으며,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481에 위치하고 있다. 관장은 고위공무원단 가등급에 속하는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한다.[1]

간략 정보 국립중앙과학관 國立中央科學館, 옛 명칭 ...
국립중앙과학관
國立中央科學館
Thumb
옛 명칭국립과학관
유형과학박물관
국가대한민국
소재지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481(구성동)
개관일1990년 10월 9일 (1990-10-09)
운영자대한민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건축가김수근
방문객 수1,795,076(2017년 기준)
Thumb
웹사이트http://www.science.go.kr/
닫기
Thumb
국립중앙과학관 자연사관에 전시된 조선 누층군 직운산층삼엽충 화석 바실리엘라 티피칼리스(Basiliela typicalis)
Thumb
국립중앙과학관 자연사관에 전시된 옥천 누층군 점판암과 편암

직무

  • 과학기술의 보급에 관한 계획의 수립·시행
  • 과학기술관·천체관·사이언스홀·생물탐구관·특별전시관·과학캠프관·과학교육관·자기부상열차·자연사관·창의나래관 등 운영
  • 전국과학전람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및 대한민국 국제청소년과학창의제전(KISEF)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보급·운영 및 각종 과학행사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 자료의 수집·발굴·조사·연구·보존·제작 및 전시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의 보급 관련 특별전시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 전시·연구·교육에 관한 정보화
  • 과학기술정책 및 연구개발성과 전시·확산·홍보
  • 과학기술 자료의 종합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에 관한 사항
  • 과학기술 유산의 체계적인 발굴·조사 및 확산에 관한 사항
  • 겨레과학기술응용개발사업 추진
  •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의 한국위원회 및 한국사무국 운영
  • 전국 국·공·사립 과학관에 대한 지원·자문과 국내 및 외국 과학관과의 협력 증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위임하는 업무
  • 과학관 운영과 관련된 부대사업 및 수탁사업
  • 기타 국립중앙과학관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사업

역사

'국립과학관'은 1927년 5월 재단법인조선과학재단에서 남산 기슭에 '은사기념과학관'(恩賜記念科學館)이라는 명칭으로 창설·개관한 것이 시초이다. 이 과학관은 광복 후에 국립과학박물관, 정부 수립 후에 국립과학관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구 국립과학관은 대지 2,885평(9,500여 m2), 건평 1천 평 가량의 목조 건물에 10여만 점의 동·식물 표본과 실험기구, 각 분야별 연구실이 갖추어져 있었으나 한국 전쟁으로 대부분 소실되어 수십 평의 서류창고만 남았다.[2]

과학관은 1961년 말에 착공,[3] 이듬해인 1962년 8월 30일에 개관하였다. 당시의 과학관은 별관으로, 370석 규모의 영사실과 100여 평의 전시실을 갖추었다.[4] 본관은 1970년에 지어졌고,[5] 1972년 9월 8일에 개관하였다.[6] 당시 1억 원의 예산이 들었으며, 연건평 1,500평의 3층 건물에 170여 종의 전시물을 갖추었다. 설계는 건축가 김수근이 맡았다. 1층에는 대한민국 공군에서 기증된 F-86 세이버가 전시되었다.[7] 1979년에는 1,500평 규모의 산업기술관이 개관되었다.[8]

연혁

  • 1949년 7월 14일: 문교부 소속으로 국립과학관 설치.[9]
  • 1950년 9월 27일: 한국 전쟁으로 건술 소실.
  • 1962년 8월 30일: 국립과학관 개관.
  • 1969년 4월 3일: 과학기술처 소속으로 변경.[10]
  • 1972년 9월 8일: 상설전시장 개관.
  • 1979년 7월 19일: 산업기술관 개관.
  • 1990년 4월 17일: 국립중앙과학관으로 개편.[11]
  • 1990년 6월 8일: 대전직할시 유성구로 이전.
  • 1990년 10월 9일: 국립중앙과학관 개관.
  • 1994년 12월 22일: 탐구관 개관.
  • 1998년 2월 28일: 과학기술부 소속으로 변경.[12]
  • 2000년 1월 1일: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13]
  • 2007년 4월 27일: 첨단과학관 개관.
  • 2008년 2월 29일: 교육과학기술부 소속으로 변경.[14]
  • 2008년 4월 28일: 생물탐구관 개관.
  • 2009년 1월 21일: 우주체험관 개관.
  • 2011년 7월 23일: 창의나래관 개관.
  • 2012년 7월 23일: 가족캠핑장 개관.
  • 2012년 12월 27일: 꿈아띠체험관 개관.
  • 2013년 3월 23일: 미래창조과학부 소속으로 변경.[15]
  • 2013년 5월 6일: 우주과학공원 개관.
  • 2017년 7월 2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으로 변경.[16]

출처: 국립중앙과학관 연혁

전시 및 시설 현황

상설전시

  • 우주에서 인간까지
  • 한국의 자연사
  • 한국과학 기술사
  • 해양에서 꿈꾸는 미래
  • 포유류돋보기
  • 우리 배
  • 도자과학
  • 기초과학
  • 산업기술
  • 우주체험관
  • 생물탐구관
  • 옥외전시품

기획전시

  • 과학기술 특별주제의 수시 기획전

야외전시

  • 태양광발전기
  • 돌기름틀
  • F86-F 전투기
  • 뫼비우스의 띠
  • 물 과학 체험
  • 자기부상열차 역사관
  • 우주과학공원
  • 나로호 모형

시설 현황

상설전시관, 천체관, 생물탐구관, 우주체험관, 창의나래관, 사이언스홀, 우주체험관, 특별전시관, 야외전시장, 과학캠프관, 자기부상열차, 워터사이언스파크 등이 있다.

  • 대한민국에서 세계 3번째로 만들어진 자기부상열차가 전시되고 있다.
  • 태양광전지판으로 전기를 얻어서 한전의 전기와 병합해서 사용 중이다.

조직

관장

  • 경영기획과[17]
  • 운영지원과[17]
  • 과학교육과[17]
  • 과학문화홍보팀[18]
전시연구단[19]

각주

같이 보기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