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인공위성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광명성 2호(光明星 2號)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2009년 4월 5일에 발사한 은하 2호 로켓에 탑재되었던 인공위성이다. 시험 통신 위성으로, 북한 조선중앙통신사는 5일 오후 3시 30분께 "인공위성 '광명성-2호'가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지만 국제 사회는 인정하지 않는다. 궤도 경사각은 40.6°. 지구로부터 제일 가까운 거리는 490km, 제일 먼 거리는 1426km인 타원궤도로, 주기는 104분 12초이다. 대한민국의 청와대는 5일 오전 11시 30분 15초에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동해 위성 발사장)에서 로켓을 발사했다고 발표하였으며,[1] 대한민국과 미국측은 인공위성 발사체가 궤도에 오르지 못하고 바다에 떨어졌다고 했다.[2][3]
조선우주공간 기술위원회는 2009년 2월 24일 대변인 담화를 통해 "인공위성을 발사하기 위한 준비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밝혀 광명성 2호의 존재를 처음으로 알렸다.[4] 이에 대해 발사하려는 것이 미사일이나 인공위성이냐는 논란이 일었다. 3월 11일 미국 국가정보국장 데니스 블레어는 북한이 발사하려는 것이 우주발사체(space launch)로 보인다는 견해를 밝혔다.[5]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광명성 2호는 측정기재와 통신기재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김일성장군의 노래, 김정일장군의 노래와 측정자료들을 470MHz로 지구에 전송하는 시험 통신 위성이다.[6]
일본은 로켓 발사 직후, 의장국인 멕시코에 국제 연합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 개최를 요청했으며[13] 이에 따라 제1차 비공개 협의가 개최되었으나 구체적인 결론을 이끌어 내는데는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14]
그렇지만 같은 달 14일에 열린 회의에서 15개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로켓 발사를 규탄하는 의장 성명을 발표했다.[15]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