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물벼룩목(Cyclopoida)은 요각류의 하위 분류 10개 중 하나이다. 크기는 1mm~3mm 정도 되는 작은 갑각류이며, 외양부터 심해, 하수 등에서 폭넓게 서식한다. 수중에서 부유하며 생활하는 경우가 많지만 뗏목벌레 등의 일부 분류에 속하는 종들은 기생하면서 생활한다. 가끔씩 어항에도 발생하며 이를 '코페포타'라고 부른다
간략 정보 검물벼룩목, 생물 분류ℹ️ ...
닫기
기생성에 속하는 종은 마지막 탈피 후 성체가 될 때 숙주에 적응한 형태로 변태 과정을 거친다. 많은 경우 첫번째 더듬이가 두흉부에서 짧은 경우 두번째 더듬이가 단지형일 때 구별될 수 있다.[1]
보통 다리는 5쌍의 형태를 취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1~4번째 다리는 이지형을 갖고 있지만 5번째 다리는 단지형을 취하고 있으며 첫번째 배마디에는 한 개이며, 알주머니가 있다.[2] 또한 암컷은 옆에 동그란 생식기가 두 개 있고 수컷은 없다.
검물벼룩목은 30개의 과로 이루어져 있다.[3]
- Archinotodelphyidae Lang, 1949
- Ascidicolidae Thorell, 1859
- Botryllophilidae Sars G.O., 1921
- Buproridae Thorell, 1859
- Chitonophilidae Avdeev & Sirenko, 1991
- Chordeumiidae Boxshall, 1988
- Corallovexiidae Stock, 1975
- Cucumaricolidae Bouligand & Delamare-Deboutteville, 1959
- Cyclopettidae Martínez Arbizu, 2000
- Cyclopicinidae Khodami, Vaun MacArthur, Blanco-Bercial & Martinez Arbizu, 2017
- 검물벼룩과(Cyclopidae Rafinesque, 1815
- Cyclopinidae Sars G.O., 1913
- Enterognathidae Illg & Dudley, 1980
- Enteropsidae Thorell, 1859
- Fratiidae Ho, Conradi & López-González, 1998
- Giselinidae Martínez Arbizu, 2000
- Hemicyclopinidae Martínez Arbizu, 2001
- Lernaeidae Cobbold, 1879
- Mantridae Leigh-Sharpe, 1934
- Micrallectidae Huys, 2001
- Notodelphyidae Dana, 1853
- Oithonidae Dana, 1853
- Ozmanidae Ho & Thatcher, 1989
- Paralubbockiidae Boxshall & Huys, 1989
- Psammocyclopinidae Martínez Arbizu, 2001
- Pterinopsyllidae Sars G.O., 1913
- Schminkepinellidae Martínez Arbizu, 2006
- Smirnovipinidae Khodami, Vaun MacArthur, Blanco-Bercial & Martinez Arbizu, 2017
- Speleoithonidae Rocha & Iliffe, 1991
- Thaumatopsyllidae Sars G.O., 1913
- Cyclopoida incertae sedis - 8 genera
천장입요각목(Poecilostomatoida)도 예전에는 독립된 목으로 분류했으나,[4][5] 최근 연구는 검물벼룩목에 속한 아목으로 분류하고 있다.[6]
Geoff Boxshall & T. Chad Walter (2018). T. Chad Walter & Geoff Boxshall, 편집. “Cyclopoida”. 《World of Copepods database》.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2018년 4월 11일에 확인함.
A. G. Humes & G. A. Boxshall (1996). “A revision of the lichomolgoid complex (Copepoda: Poecilostomatoida), with the recognition of six new families”. 《Journal of Natural History》 30 (2): 175–227. doi:10.1080/00222939600771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