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위와 권력이 분리되는 양상이 드러났다. 섭관가 본류도 고노에 · 구조 두 집안을 필두로 이치조(一条) · 니조(二条) · 다카쓰카사(鷹司)의 오섭가로 나뉘었고, 대대로 그 중에서 가장 관위가 높은 사람이 섭정 · 관백으로 임명되는 것이 관례가 되어 메이지 유신까지 이어졌다
했다. 이러한 긴장감은 당시 11살에 가까워진 무쓰히토 친왕도 직접 느낄 정도였다. 같은 해 7월 19일, 관백 다카쓰카사 스케히로(鷹司輔煕)는 천황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친정을 행하는 것에 대해 교토에 있는 각 번주들에게 자문을 구했다. 이에 돗토리번 번주 이케다 요시노리(池田慶徳)는
타다카) 51 세 종 1 위 · 좌대신 니조 나리유키 47 세 종 1 위 · 우대신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 39 세 青蓮院門主 鷹司輔煕 (타카츠카사 스케히로) 56 세 종 1 위 · 전 우대신 徳大寺公純 (토쿠다이지 킨이토) 42 세 정2위 · 내대신 나카야마 다다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