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tools
한글 자모 중의 하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ㄹ(리을)은 한글의 자음 중 넷째 글자이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어두초성에서는 치경 설측 접근음[l]으로 소리난다. 모음과 모음 사이에선 치경 탄음[ɾ]으로 소리나며 음절 마지막에는 권설 설측 접근음[ɭ]으로 소리난다. ㅣ나 ㅑ, ㅒ, ㅕ, ㅖ, ㅛ, ㅠ 앞에서는 설측 치경구개 접근음[ȴ]으로 구개음화한다. 한국어 고유어 낱말과 대한민국 표준어 한자어에서는 단어 맨 앞에 ㄹ이 오지 않는다.
일제강점기 이전 한국어에서 두음 법칙이 나타남으로써 낱말 어두의 ㄹ이 ㄴ, ㅇ으로 대부분 바뀌었으나,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인위적으로 이를 없앤 반면 대한민국은 맞춤법에 반영하였다.
훈민정음에 따르면 ㄹ이 나타내는 소리는 반혓소리이며, 그 제자 원리는 혀 모습을 본뜬 것이나 그 모양을 달리 해서 획을 더한 뜻은 없다고 했다.
어간이 ㄹ로 끝나는 동사는 모두 ㄹ 불규칙 활용을 한다(ㄹ 탈락).
조사 ‘-으로’는 받침 있는 체언에 붙이는 격 조사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에는 '으'를 생략하고 ‘-로’가 붙는다('으' 탈락).
가벼운리을(ᄛ, ퟝ)은 ㄹ 아래에 ㅇ을 쌓은 한글 낱자로, 훈민정음 합자해에서 ㄹ의 두 가지 소리를 구분하기 위해 설명된 글자이다. 실제 사용된 예는 없으며, 순경음의 표기처럼 혀가 윗잇몸에 잠깐 닿아 나는 가벼운 반혓소리(반설경음)를 나타내는 데 ㄹ 아래에 ㅇ을 덧댈 수 있다고 간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半舌有軽重二音。然韻書字母唯一,且國語雖不分軽重,皆得成音。若欲備用,則依脣軽例,ㅇ連書ㄹ下,為半舌軽音,舌乍附上腭。— 훈민정음 중 합자해
반설음에는 가볍고 무거운 두 소리가 있다. 운서 자모에는 오직 하나이고, 또 우리말에서는 비록 경중을 구분하지 않으나 다 말소리를 이룰 수 있다. 만일 갖춰 쓰고자 한다면, 순경음의 예를 따라, ㅇ을 ㄹ 아래에 이어 쓰면 혀가 윗잇몸에 잠깐 닿는 반설경음이 된다.
미리 보기 | ᄅ | ᆯ | ㄹ | ᄅ | ᄛ | ퟝ | ||||||
---|---|---|---|---|---|---|---|---|---|---|---|---|
유니코드 이름 | HANGUL CHOSEONG RIEUL | HANGUL JONGSEONG RIEUL | HANGUL LETTER RIEUL | HALFWIDTH HANGUL LETTER RIEUL | HANGUL CHOSEONG KAPYEOUNRIEUL | HANGUL JONGSEONG KAPYEOUNRIEUL | ||||||
인코딩 | 10진 | 16진 | 10진 | 16진 | 10진 | 16진 | 10진 | 16진 | 10진 | 16진 | 10진 | 16진 |
유니코드 | 4357 | U+1105 | 4527 | U+11AF | 12601 | U+3139 | 65449 | U+FFA9 | 4379 | U+111B | 55261 | U+D7DD |
UTF-8 | 225 132 133 | E1 84 85 | 225 134 175 | E1 86 AF | 227 132 185 | E3 84 B9 | 239 190 169 | EF BE A9 | 225 132 155 | E1 84 9B | 237 159 157 | ED 9F 9D |
수치 문자 참조 | ᄅ | ᄅ | ᆯ | ᆯ | ㄹ | ㄹ | ᄅ | ᄅ | ᄛ | ᄛ | ퟝ | ퟝ |
한양 PUA | 63384 | F798 | 63627 | F88B | 63399 | F7A7 | 63657 | F8A9 |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Every time you click a link to Wikipedia, Wiktionary or Wikiquote in your browser's search results, it will show the modern Wikiwand interface.
Wikiwand extension is a five stars, simple, with minimum permission required to keep your browsing private, safe and transpa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