Ï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Ï, 소문자로 ï는 로마자를 차용한 여러 언어에서 쓰이는 글자이다. '트레마를 씌운 글자 I'나 '움라우트 I'로 읽을 수 있다.

언어별 쓰임새
아프리칸스어, 카탈루냐어, 프랑스어, 갈리시아어, 웨일스어, 남부 사미어, 그리고 드물게 영어에서는 다른 모음 뒤에 i가 오고, 그 단어가 모음 접속 (모음 사이에 두절이 있음)으로 발음될 때 쓰인다. 즉 두 모음끼리 부딪히더라도 이중모음이나 이중음자로 소리나지 않고 각각 다른 음절로 발음됨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서 프랑스어의 'maïs' (IPA: [ma.is], →옥수수)는 트레마 부호가 빠진다면 글자 i는 이중음자 ai로 합쳐져 소리나게 된다. 네덜란드어의 'Oekraïne' (발음 [ukraːˈinə], →우크라이나)와 영어의 'naïve' (/nɑːˈiːv/ 혹은 /naɪˈiːv/, →소박한, 우직한)도 같은 예이다.
한편 튀르키예어를 학술적으로 다룬 문헌에서 가끔씩 글자 ï가 후설 비원순 고모음 (/ɯ/, 한국어의 'ㅡ' 발음)을 표기하는데 쓰이기도 한다. 현대 표준 터키어 철자법에서는 같은 발음을 점 없는 i (ı)로 표기한다.[1] 고대 몽골어의 후설 중성모음을 ï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2]
아마존 언어들의 로마자 표기법에서도 중설 비원순 고모음인 /ɨ/를 Ï로 표기하기도 한다.
입력 코드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