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이 관목 또는 다년생 식물이나, 몇몇은 일년생 또는 이년생이다. 가장 큰 종인 칼랑코에 비하렌시스(Kalanchoe beharensis)는 마다가스카 원산이며, 6미터 크기로 자라며, 대부문의 종은 1미터 이내이다.
칼랑코에속에 속한 종은 꽃잎의 안쪽 표면 세포가 성장하여 꽃잎들을 바깥으로 밀어서 꽃이 피고, 꽃이 닫힐 때는 꽃잎의 밖의 세포가 성장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종들이 처음으로 기록된 것은 1763년 식물학자 미셀 애던슨에 의해서다. 칼랑코에라는 이름은 그 속에 속하는 일종의 중국어명으로부터 왔다고 전해지는데[1] 이 중국산 종이 바로 칼랑코에 세라토필라(Kalanchoe ceratophylla) 또는 칼랑코에 스패툴라타(Kalanchoe spathulata)인 것으로 여겨진다[출처 필요]. 브리오필럼(bryophyllum)종은 1806년 샐리스베리에 의해 기록되었으며, 키친지아(kitchingia) 종은 1881년 베이커에 의해 만들어졌다. 키친지아는 칼랑코에와 동의어로 여겨지나, 일부 식물학자들은 브리오필럼을 별개의 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1]
이 식물은 실내화분용이나 다육질의 정원용 식물로 재배된다. 번식이 쉽고, 물이 많이 필요 없으며, 식물체보다 위에 송이로, 다양한 색의 꽃이 피기 때문에 인기가 좋다. 브리오필럼 무리(전에는 독립된 종이었으나)에는 기생식물인 칼랑코에 핀나타 (Kalanchoe pinnata)와 같은 종들이 들어간다. 이 식물 종들의 새 개체는 잎의 주위를 따라서 생긴 톱니부분에서 작은 실눈과 같은 묘목으로 성장하게 된다. 이 작은 식물체는 결국 떨어져 나와 뿌리를 내린다. 이 종들에는 꽃을 수정하여 씨를 만들 수 있는 수꽃이 발견된 적이 없었으며, 보통 '천손초'(Mother of Thousands)라고 불린다. 붉은삐에로나비 (Red Pierrot butterfly) 애벌레의 먹이가 되는 식물이기도 하며, 잎 위에 나비가 알을 낳으면 부화한 뒤 애벌레가 잎의 안쪽으로 들어가 안쪽에서부터 잎을 갉아먹는다.
이 부분의 본문은 칼랑코에의 병해 목록입니다.
돌나물과의 다른 속들과 마찬가지로 몇몇 칼랑코에는 부파디에놀라이드(bufadienolide)[2]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 물질은 특히 풀을 먹는 동물의 심장병을 유발할 수 있다[3][4]. 이것은 특히 남아프리카의 카루(Karroo) 지역이 원산지로서 서식하는 여러 종류의 칼랑코에가 문제가 되는데, 이 지역에는 수축병이라고 알려진 동물병이 있다[5]. 비슷한 중독이 오스트레일리아에도 나타난다.
전통적인 약재로서, 칼랑코에는 감염, 류머티즘 그리고 염증 치료에 사용되었다. 칼랑코에 추출물은 면역억제제로서의 효과가 있다. 트리니다드 토바고에서 칼랑코에 핀나타(Kalanchoe pinnata는 전통적인 고혈압치료제로 알려져 있다[6].
다양한 부파디에놀라이드 물질들이 여러 종류의 칼랑코에 종으로부터 분리되었다[7][8]. 다섯 종류의 부파디에놀라이드가 칼랑코에 데이그리몬티아나(Kalanchoe daigremontiana)에서 분리되었다. 이 중 두 가지는 데이그리몬티아닌(daigremontianin)과 버살드게닌 1,3,5-오르토아세테이트 (bersaldegenin 1,3,5-orthoacetate)로 확실한 진정(鎭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들은 글리코사이드(cardiac glycoside)와 함께 근수축에 양성효과를 가지며, 양이 증가함에 따라 중추신경계에 효과를 준다.
칼랑코에 핀나타로부터 분리된 부파디에놀라이드 화합물은 브리오필린 A가 들어가 있는데, 이 화합물은 항종양 기능의 활성화를 보여주며, 버살드게닌 3-아세테이트(bersaldegenin-3-acetate)과 브리오필린 C는 효과가 좀 덜 하다. 대신 브리오필린 C는 살충효과가 있다.[9]
McKenzie, RA; Franke FP; Dunster PJ. (1987년 10월), “The toxicity to cattle and bufadienolide content of six Bryophyllum species.”, 《Aust Vet J.》, PMID3439945
Lans, CA (2006년 10월 13일), “Ethnomedicines used in Trinidad and Tobago for urinary problems and diabetes mellitus.”, 《J Ethnobiol Ethnomed.》, PMID17040567
Wagner, H; Fischer M; Lotter H (1985년 4월), “Isol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Daigremontianin, a Novel Bufadienolide from Kalanchoe daigremontiana.”, 《Planta Med.》, PMID17340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