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즈아

2010년대 발생한 대한민국 유행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가즈아(IPA: [ka̠d͡ʑɯa̠])는 도박이나 투자에서 긍정적인 기대를 표현하는 감탄사이다. "가자."를 길게 발음한 것이며 과거 스포츠 도박 같은 것을 하는 사람들이 쓰던 말이다. 그러나 요즘에는 대중화되어 어떤 일에 대한 열망을 표현하는 데에 주로 사용된다.[1] (가령, "금메달 가즈아!", "합격 가즈아!" 등등) 그리고 2017년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투자ㆍ매매 활성화 즈음에 자기가 투자한 암호화폐의 가치 상승을 염원하는 의미에서 디시인사이드 내 '비트코인 갤러리'를 중심으로 이 단어가 유행하게 되었다.[2] 부정적인 상황에서도 쓰이며 "한강 가즈아."라고 하는 경우 투자한 비트코인의 가격이 떨어졌음을 의미한다.[3]

국민의당 안철수가 매실주스를 들고 건배사로 "국민의당 가즈아!"를 외친 일이 있다.[4] 대한민국 외의 국가에도 알려져 있는 유행어이며,[5] 알트코인의 하나인 트론 개발자 저스틴 선(Justin Sun)도 트위터로 "가즈아(Gazua)"라는 단어를 사용한 바 있다.[6] 심지어 유튜버 중에서도 이런 말을 쓰는 사람이 있다고 한다. 한편으로 투자에 실패한 투자자가 한강에서 자살을 많이 한다는 점에서 착안해 "한강 가즈아."라는 활용형도 존재한다.[3] 가즈아라는 명칭의 한강의 수온을 알려 주는 모바일 앱도 출시되기까지 했다.[7]

유사 신조어

가즈아 이외에도 암호화폐 투자자들 사이에서 유행한 은어들이 몇 가지 존재한다. 이 신조어들은 2010년대 말 들어 유행어가 됐다. 대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3][8]

  • 존버: '존나 버티다'의 줄임말로, 끝까지 막연하게 버티는 것을 뜻한다. 존나 버로우에서 시작된 말
  • 떡상, 떡락: 각각 비트코인 가격이 급상승하고 급폭락하는 장세를 의미한다.
  • : 투자자가 매입한 암호화폐 가격의 단위. 가령 2,400원에 암호화폐를 매입하였을 경우 아파트에 입주하듯 '24층에 입주'하였다고 표현한다. 한편으로 높은 '층'에 들어간 투자자들이 폭락장으로 손해를 보았을 때, 그 손해를 메꾸기까지 언제까지 '존버'해야 하냐는 의미에서 구조대라는 표현도 사용한다. '40층 구조대 언제 오냐?'는 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 코린이: '인' + '어린이'의 합성어로, 암호화폐 투자에 늦게 뛰어들었다 손해를 본 초보 투자자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 구조대: 각 층에 물려있는 시체되기 직전의 투자자들을 구출해주러 가는 다수의 익명 구매단을 뜻한다.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